사회

5.18 광주 민주화 운동: 한국 민주화 운동의 출발점

지 PD 2023. 5. 19. 18:11
728x90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일어났던 민주화 운동. 5월 18일 광주지역의 학생시위로부터 출발한 반독재 민주화 운동을 신군부는 계엄군과 공수부대를 보내어 잔악하게 진압하기 시작했다. 열흘간 이어진 운동은 탱크로 무장한 계엄군의 대대적 진압으로 수많은 사상자를 내면서 일단락되었다.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한국 현대사 가운데 집권세력에 대항한 최초의 무장항쟁이라는 중요한 역사적 의의가 있으며, 이후 6월항쟁으로 이어지는 민주화 운동의 실질적인 출발점이자 준거점이 되었다.

1979년 10·26사태로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되고 유신체제가 붕괴되면서 한국은 민주화를 향한 정치적 격변의 시기로 접어들었다. 유신체제의 전 기간을 통해 억압받아온 민주주의와 생존권에 대한 열망은 기존의 집권세력을 위협하면서 급격하게 확대되어갔지만, 12·12사태를 계기로 권력의 핵심을 장악한 전두환(全斗煥) 보안사령관이 중심이 된 신군부세력은 최규하(崔圭夏) 과도정부를 유명무실하게 하고 국민들이 요구하는 민주주의와 이를 위한 명확한 정치일정 제시를 거부하면서 권력기반을 구축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국민의 저항은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표출되다가 사북사태로 대표되는 노동자 생존권의 문제로까지 확산되었다. 특히 1980년 5월 15일 서울역시위 등 학생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신군부세력을 위협하자 신군부세력은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 전국확대조치'를 발표했다. 집권세력은 그들의 구상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분출되는 국민들의 저항에 군사적으로 대응하면서 민주인사에 대한 대대적인 체포와 투옥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들의 의도는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시민들의 저항에 부딪쳤다. 시민들은 집권세력에 의해 폭도로 매도당한 채 고립된 속에서 군의 잔악한 진압과 학살에 대응하기 위한 자위적 무장을 갖추고 이후 10일간의 투쟁을 전개해나갔다. 계엄군은 광주와 전남의 통행을 막아 고립시켰고, 그 동안 광주에서는 시민자치제가 실시되어 전남도청 분수대에서 매일 시민궐기대회가 개최되었다. 신군부는 타 지역에 광주를 치안 부재 상태로 내몰았다. 5월 26일, 탱크를 앞세워 다시 전남도청으로 향한 계엄군은 1시간의 교전 끝에 수많은 시민들의 생명을 앗아갔다.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1980년대 후반까지 전개된 민주화 운동의 원동력이자 밑거름이 되었다. 한편, 당시 신군부의 언론 통제로 인해 국내에서는 보도될 수 없었던 광주 민주화 운동의 참상은 독일 기자 위르겐 힌츠펜터에 의해 전 세계에 알려졌다. 이후 1995년 12월 <5.18 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어 희생자에 대한 보상과 묘역 및 성역화가 이루어졌고, 1997년에는 5월 18일이 법정기념일로 제정되었다. 2011년 5월에는 5·18 민주화 운동과 관련된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정식으로 등재되었다.

728x90